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직장인 애드센스 세금신고하기

by 일상 생활정보 2024. 5. 6.
반응형

안녕하세요? 제가 이번에 직장인으로 애드센스 종합소득세 신고를 했습니다. 여러 구글링을 통해서 애드센스 세금신고하는 방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 직장인이라 소득이 작지만 들어온 경우가 있어 작은 금액이라도 신고를 했습니다. 2023년 지난해 제가 블로그를 시작한 이후 대략 50만원 정도 소득금액이 발생했습니다. 50만원도 티스토리 블로그 하기전에는 꿈도 못꾸는 금액이라고 생각을 하구 작은 소득금액도 국가에 귀속된다는 일렴하에 세금 신고를 하였습니다. 이전 네이버 블로그나 쿠팡파트너스를 할때에는 자동으로 신고가 되어서 귀속이 되었는데, 글로벌한 구글은 데이터화 하는게 조금은 느린지 기타소득으로 분류 되지 않어 찾아서 신고했습니다.

 

일단 직장인이라면 근로소득이 있기 때문에 블로그 소득은 기타소득이 될수도 있으며 사업자 소득이 될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기적으로 입근이 된다면 사업소득이 형성이 되며 추후에도 정기적으로 입금이 된다는 가정하에 사업소득으로 신고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만약 한번 받고 그만 두실 경우라면 기타소득으로 분리과세 하시면 됩니다.

 

홈텍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홈텍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홈페이지 들어간 이후 홈에서 세금신고 카테고리 / 종합소득세 신고 카테고리 란에 일반신고란을 클릭을 해주십시오.

 

정기신고란을 통해서 2024년 5월이 종합소득세 신고란이니 정기신고에 해당하며 기한후신고 수정신고는 2년전 내용이므로 무시해 주시면 됩니다.

 

이후 나오는 칸이 근로소득 / 사업자소득 / 기타소득 으로 분류 됩니다. 개인정보상 이후란은 캡쳐가 불가하여 심플하게 설명하고자 합니다. 

 

직장인의 애드센스 소득을 사업자로 신고하는 경우이니 근로소득 + 사업자소득에 대한 칼럽을 찍고란 이후에 신고 절차를 밟으시면 됩니다.

 

사업자번호가 대부분이 없기 때문에 사업소득 신고시에는 사업자 번호 없음과 애드센스 소득 코드인 940306를 입력하여 해당 금액을 정리해주시면 됩니다.

 

애드센스 입금 내역은 입금 금액 * 환율 = 표기된 원화 금액으로 산출하여 주시면 필요경비를 제하고 최종 사업소득이 결정이 되오니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반응형